색인(index)의 사전적 정의
"색인은 책 속의 낱말이나 구절, 또 이에 관련한 지시자를 찾아보기 쉽도록 일정한 순서로 나열한 목록을 가리킨다.
인덱스(index) 라고도 한다."
( 인덱스 : 원하는 내용을 빠르게 검색하고 추출할 수 있도록 일정한 순서에 따라 별도로 정리해 놓은 목록 )
즉 색인이란 것은 '알아보기 쉽도록 표시해둔 목록'이라는 것이다.
웹에서의 색인은 데이터를 기록할 때 데이터의 이름이나 크기 등의 데이터를 보여주는 속성과
이러한 데이터를 기록한 장소 등을 보기쉽게 표시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결국 '데이터에 대한 참조용 데이터'를 색인(index)라고 하는 것이다.
색인이 검색엔진에서 중요한 이유
검색엔진 에서 색인이라는 것은 검색을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인 셈이다.
알아보기 쉽도록 표시해둔 목록이 색인인데, 색인이 없다면 어떠한 단어를 검색했을 때 모든 문서를 뒤져서 찾아야 할 것이고, 이런 복잡한 과정을 모두 거쳐야 한다. 모든 방면에서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비해야 할 것이다.
간단 요약
크롤러 라는 프로그램을 돌려서 페이지를 찾아서 방문하고 '페이지의 정보를 적어서'
검색했을 때 색인을 통해서 최상의 검색결과를 게재한다.
검색엔진에서 상위에 노출되고, SEO가 최적화 되기 위해서는 '색인' 이라는 것을 잘 설정해두어야 검색봇이 페이지를 잘 긁어가서 검색엔진에 노출을 시키기 좋다.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정리] 강제업데이트/선택 업데이트란? (0) | 2021.07.15 |
---|---|
로컬(local) 개발 환경이란 (0) | 2021.07.06 |
[용어정리] 탐색 테스트 케이스 - 테스트 차터란? (0) | 2021.07.06 |
[용어 정리] Commit이란? (0) | 202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