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의 정석 - 기초편

기본형의 종류와 범위

ODaram 2022. 7. 28. 14:49

기본형 (Primitive type) - 종류와 크기

 > 논리형(boolean) - true와 false 중 하나를 값으로 갖으며,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된다. 

 > 문자형 (char) - 문자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변수 당 하나의 문자만을 저장할 수 있다.

 > 정수형 - 정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주로 사용하는 것은 int와 long(아주 큰 정수) 이며,  

                  short은 c언어와의 호환을 위해 추가되었다. ( 잘 안쓰임)

 

 > 실수형 (float, double) - 실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 해당 표 꼭 외우기!

종류 / 크기 1byte 2byte 3byte 4byte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기본형 (Primitive type) - 표현범위 (1/3)

   byte b;

           b = 3;

저장 형식의 예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의 개수 : 2^n 개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부호없는 정수의 범위 : 0 ~ 2^(n-1) (0~255)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부호있는 정수의 범위 : -2^(n-1) ~ 2^(n-1) -1  (-128~127)

기본형 (Primitive type) - 표현범위 (2/3)

 

short  타입 부호 있음 : (2byte = 16bit) / -2^(n-1) ~ 2^(n-1) -1 / -32768 ~ 32767

char 타입 부호 없음 :  (2byte = 16bit) / 0 ~ 2^(n-1) (0~255) / 0 ~ 65535

int 타입 부호 있음 : (4byte = 32bit) / -2^(n-1) ~ 2^(n-1) -1 /  -20억 ~ 20억

long 타입 부호 있음 : (8byte = 64bit) / -2^(n-1) ~ 2^(n-1) -1 /  -800억 ~ 800억

 

기본형 (Primitive type) - 표현범위 (3/3)

자료형 저장 가능한 값의 범위 (양수) 정밀도
(오차 없는 자리수)
크기
bit byte
float 1.4E-45 ~ 3.4E38 (= 10^38) 7자리 32 4
double (디폴트) 4.9E-324 ~ 1.8E308 15자리 64 8

-1.4X10^-45 ~ 1.4X10^-45 : 표현할 수 없는 범위

 - float 1+8+23 = 32 bit = 4 byte

 - double 1+11+52 = 64 bit + 8 byte

 

'자바의 정석 - 기초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면으로부터 입력 받기  (0) 2022.07.28
printf를 이용한 출력  (0) 2022.07.28
기본형과 참조형  (0) 2022.07.28
두 변수 바꾸기  (0) 2022.07.28
문자, 문자열 리터럴, 문자열 결합  (0)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