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클립스 70

형변환 연산자

항변환이란,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 하는 것 (타입) 피연산자 ex) double d = 85.4; int score = (int) d; -> d는 double 이라 저장이 불가하므로 int 로 변경해줌 -> int score = (int) 85.4; -> int score = 85; 형변환 연산자 변환 수식 결과 int -> char (char) 65 ' A ' char -> int (int) 'A' 65 float -> int (int) 1.6 f 1 (반올림 되지 않음) int -> float (float) 10 10.0 f *우리가 입력하는 것들은 문자표에 해당하는 코드로 바뀌어 저장됨 자동 형변환 float f = 1234; // int 타입의 값을 float 타입의 변수에..

증감 연산자, 부호 연산자

증감 연산자 증가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킨다. 감소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킨다. 타입 설명 사용예 전위형 ( 앞 )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 j = ++i; 후위형 ( 뒤 ) 값이 참조된 후에 증가시킨다. j = i++; "증감 연산자가 독립적으로 사용된 경우, 전위형과 후위형의 차이가 없다." 증감 연산자가 포함된 식을 이해하기 어려울 때는 다음과 같이 증감 연산자를 바로 떼어내면 이해하기 쉬워짐 전위형의 경우 증감 연산자를 식의 이전으로 J = ++i; // 전위형 -> ++i; // 증가 후에, j=i; //참조하여 대입 후위형의 경우 중간 연산자를 식의 이후로 떼어내면 된다.. J = i++; // 후위형 -> j=1; // 참조혀여 대입 후에 i++; ..

연산자의 우선순위와 결합규칙

연산자의 우선순위 "하나의 식(expression)에 연산자가 둘 이상 있을때, 어떤 연산을 먼저 수행할지를 자동 결정하는 것" 식 설명 -x + 3 단항 연산자(-)가 이항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그래서 x의 부호를 바꾼 다음 덧셈이 수행된다. 여기서 '-'는 뺄셈 연산자가 아니라 부호 연산자이다. 1항(단항) 연산자 > 2항 연산자 x + 3 = y 곱셈과 나눗셈이 덧셈과 뺄샘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그래서 '3 * y' 가 먼저 계산된다. x + 3 > y - 2 비교 연산자(>) 보다 산술 연산자 '+'와 '-'가 먼저 수행된다. 그래서 'x + 3' 과 'y - 2'가 먼저 계산된 다음에 '>'가 수행된다. x > 3 && x < 5 논리 연산자 '&&'보다 비교 연산자가 먼저 수행된다..

타입간의 변환방법

1. 문자와 숫자간의 변환 (숫자) 3 을 (문자)'3' 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문자)'0' 을 더해주면(+) 됨 (문자)' 3' 을 (숫자)3 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문자)'0' 을 빼주면(-) 됨 System.out.println((char)(3 + '0')); // '0'은 숫자로 48 System.out.println('3' - '0'); 2. 문자열로의 변환 (숫자) 3 을 (문자열)"3" 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빈 문자열"" 을 더해주면(+) 됨 (문자열)"3" 을 (숫자)3 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빈 문자열"" 을 빼주면(-) 됨 3.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문자열)"3" 을 (숫자)3 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Integer.parseInt("3")을 사용 (문자열)"3.4" 을 (doub..

화면으로부터 입력 받기

화면에서 입력받기 - Sacnner > Scanner 란? - 화면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클래스 > Scanner를 사용하려면... 1) import문 추가 import java.util.*; 2) Scanner 객체의 생성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 system.in : 화면 입력) 3) Scanner 객체를 사용 int num = scanner.nextInt(); // 화면에서 입력받은 정수를 num에 저장 nextFloat() > 입력된 값은 파란색 / 출력된 값은 흰색 예제3) 두개의 값을 연속적으로 입력 받기 public class Scanf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printf를 이용한 출력

형식화된 출력 = printf() > println() 의 단점 - 출력형식 지정 불가 1) 실수의 자리수 조절 불가 - 소수점 n자리만 출력하려면? System.out.println(10.0 / 3); // 3.33333333333....... \ 2) 10진수로만 출력된다. - 3진수, 16진수로 출력하려면? System.out.println(0x1A); // 26 (10진수) > printf()로 출력형식 지정가능 System.out.printf("%.2f", 10.0/3); // 3.33 (%.2f : 소수점 둘째자리 까지 출력 / 지시자) System.out.printf("%d", 0x1A); // 26 (%d : 10진수로 출력 / 지시자) System.out.printf("%x", 0x1A)..

기본형의 종류와 범위

기본형 (Primitive type) - 종류와 크기 > 논리형(boolean) - true와 false 중 하나를 값으로 갖으며,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된다. > 문자형 (char) - 문자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변수 당 하나의 문자만을 저장할 수 있다. > 정수형 - 정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주로 사용하는 것은 int와 long(아주 큰 정수) 이며, short은 c언어와의 호환을 위해 추가되었다. ( 잘 안쓰임) > 실수형 (float, double) - 실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 해당 표 꼭 외우기! 종류 / 크기 1byte 2byte 3byte 4byte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기본형 ..

기본형과 참조형

값의 타입 (8개의 타입 : 기본형) 값 (Data) > 문자 (가나다, ABC) - char 숫자 > 정수 (0, 25, -100) - byte, short, int, long 실수 (3.14, -0.1) - float, double 논리 - boolean - true, false 기본형과 참조형 > 기본형 (Primitive type) - 오직 8개 ( boolean (논리형), char (문자형), short, int, long (정수형), float, double (실수형) ) - 실제 값을 저장 > 참조형 (Reference type) -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String, System 등) 무한개 ... - 메모리 주소를 저장 (4 byte (32bit JVM) 또는 8 byte (64bi..